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용어24

테드스프레드와 라이보금리 테드스프레드는 만기 3개월 라이보금리에서 미국채권금리를 뺀 금리를 말합니다. 시장금리 간의 가산금리 차이를 말하며, 신용스프레드 중 하나입니다. 라이보는 은행의 단기금리이기 때문에 미국채에 비해 신용위험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테드스프레드는 금융기관 도는 금융시장의 신용위험 변화를 설명합니다. 라이보는 런던 은행 간 제공 금리를 말하며, 영국에 소재한 20개 은행들의 차입금리를 영국은행연합회가 매일 발표합니다. 시장에서는 리보 또는 라이보라고 부릅니다. 라이보금리는 전 세계 금융거래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합니다. 영국의 금융 산업이 과거에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는 대부분이 라이보를 기준금리로 삼고 가산금리를 책정합니다. 2022. 11. 30.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고정금리란 금융상품 가입 당시에 약속한 금리가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채권표면금리, 예적금 등이 있습니다. 시장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동해도 약속된 금리를 지급, 수취합니다. 다만 상호간에 약속된 금리는 고정이지만, 시장금리는 계속 변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장금리의 수준과 다르게 자신의 손익은 약속된 금리에 따라 달라집니다. 반면에 변동금리는 만기까지 일정 주기로 약속한 금리가 변하는 금리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코픽스 금리 등이 있습니다. 변동금리는 시장금리의 변화에 따라 약속된 금리가 변하므로 금리변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손익은 순수하게 시장금리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2022. 11. 30.
레버리징과 디레버리징 레버리징이란 보유한 자산 이상의 부채를 통해 이를 지렛대로 삼아 투자수익을 노리는 투자행위를 말합니다. 주식에는 신용대출 또는 미수 거래 등이 있으며, 부동산의 경우 부채를 70~80% 수준까지 일으켜 아파트 등을 매수하는 행위가 있습니다. 반대로 디레버리징은 부채를 정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부채에 대한 이자 부담, 향후 금리 및 자산가격 하라 위험으로부터 회피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기에는 레버리징 전략 또는 행태가 발견되며, 금리 인상기에는 디레버리징 전략 또는 행태가 발견됩니다. 2022. 11. 30.
사치재와 필수재 필수재는 소득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폭보다 더 작은 폭으로 소비가 증감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이와 반대로 사치재는 소득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폭보다 더 큰 폭으로 소비가 증감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필수재는 개인이나 법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재화이고 경제가 어려워져서 소득이 줄어도 수요가 감소하는 폭이 적습니다. 필수재의 예로는 식품과 지하철을 들 수 있습니다. 2022. 11. 28.
풀필먼트센터 온라인 유통업체가 판매제품을 자사 창고에 쌓아 놓고 물류시스템 전반을 총괄하는 센터를 말합니다. 2022. 11. 28.
인프라 인프라스트럭처의 약자로,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도로, 수로, 공항, 항만, 통신과 관련된 자산을 말합니다.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수요가 꾸준해 자산 수익률이 안정적입니다. 2022. 11. 28.
샤프지수 특정 펀드가 한 단위의 자산에 투자해 얻은 초과수익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똑같은 변동성을 기준으로 할 때 어느 펀드가 더 우수한 수익률을 창출했는지 보여줍니다. 2022. 11. 27.
표준편차 자료가 얼마나 평균의 주변에 모여 있는지, 흩여져 있는지(산포도)를 알아야 한다면 일반적으로 표준편차를 구해야 합니다. 표준편차는 표준의 제곱을 이용해 구합니다. 2022. 11. 27.
반응형